2024. 1. 3. 04:51ㆍ이슈이슈
안녕하세요, 오늘은 금투세 폐지 추진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금투세란 금융투자로 얻은 소득에 부과하는 세금이에요. 2020년에 여야 합의로 도입했는데, 2022년부터 시행할 예정이었어요. 그런데 윤석열 정부가 2023년 예산안을 국회에 제출하면서 금투세 도입을 2년 미루겠다고 했어요. 그리고 대주주 기준을 10억 원에서 100억 원으로 올리고, 증권거래세 인하폭도 줄이겠다고 했어요. 이런 정부의 세제 개편안에 강남 자산가들은 들썩이고 있어요.
금투세 유예의 장점
금투세 유예의 장점은 주식시장 활성화와 투자자 보호에 있어요. 금투세가 도입되면 대부분의 개인투자자들이 세금을 내야 해요. 그러면 투자 의욕이 떨어지고, 주가도 하락할 수 있어요. 그래서 금투세를 유예하면 주식시장이 안정되고, 투자자들의 부담이 줄어들 수 있어요.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힘든 시기에 투자자들에게 한 줄기 희망이 될 수 있어요.
금투세 유예의 단점
금투세 유예의 단점은 세금 정의와 세수 감소에 있어요. 금투세는 금융투자소득에 대해 합산 과세를 해서 조세체계를 합리적으로 개편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예요. 그런데 금투세를 유예하면 부자들은 이익을, 서민들은 손해를 볼 수 있어요. 왜냐하면 정부는 증권거래세 인하폭을 줄이고, 양도소득세 비과세 기준을 완화해서 초부자들에게 유리하게 세금을 바꿔가고 있거든요. 그러면 세금 정의가 훼손되고, 세수도 크게 감소할 수 있어요.
금투세 유예에 강남 자산가들은 들썩이는 이유
금투세 유예에 강남 자산가들은 들썩이는 이유는 세금 부담이 크게 줄어들기 때문이에요. 강남 자산가들은 주식을 많이 보유하고 있어요. 그래서 금투세가 도입되면 많은 세금을 내야 해요. 하지만 금투세가 유예되고, 대주주 기준이 100억 원으로 올라가면 세금을 피할 수 있어요. 또한 증권거래세 인하폭이 줄어들어도 거래세는 주식을 팔 때만 부과되는 세금이기 때문에 강남 자산가들에게는 큰 영향이 없어요. 그래서 강남 자산가들은 정부의 세제 개편안에 만족하고 있어요.
오늘은 금투세 폐지 추진에 대해 알아봤어요. 금투세 유예는 주식시장 활성화와 투자자 보호에는 좋지만, 세금 정의와 세수 감소에는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특히 강남 자산가들은 세금 부담이 크게 줄어들기 때문에 들썩이고 있어요. 금투세 유예가 국민의 목소리를 반영한 것인지, 아니면 특정 계층의 이익을 위한 것인지 잘 생각해보아야 할 것 같아요.
'이슈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조업의 고령화 문제와 해결 방안 (0) | 2024.01.17 |
---|---|
연두색 번호판이 뭐야? 왜 법인차들이 연두색 번호판을 피하려고 할까? (0) | 2024.01.16 |
임영웅 콘서트 티켓, 암표로 500만원? 암표 문제 해결 방안은? (0) | 2023.12.01 |
한전 민영화, 장단점은 무엇일까? (0) | 2023.11.30 |
경찰의 초과 근무 문제,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0) | 2023.11.29 |